당근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인턴 5주차 키워드 회고

     

     

    5주차는 드디어 적응했나..? 싶은 주였다.

    이전까지는 하루하루가 정신을 빡 차리고 사는 느낌이었다면, 5주차엔 오랜만에 약속도 잡고,

    일찍 출근/야근을 많이 했음에도 5일 내내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었다.

     

     

     

    리뷰로부터 배우기

     

    5주차에는 이전보다 더 늘어난 양의 리뷰를 받았다. 리뷰는 알바팀이 어떻게 사고하는지를 싱크할하는데에 도움을 주고, 같은 리뷰를 받는 상황을 최대한 만들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리뷰를 적용하고 기억하는게 중요하다. 앞으로 더 리뷰가 쌓이다보면, 나중에 찾아보고 싶은 내용을 찾기 힘들 것 같아서, 받은 리뷰를 정리하기 시작했다. 최대한 한 페이지에서 복습, 검색의 용이성을 위해 싶어서 PR 별로 토글에 넣었다.

     

     

    복잡한 조건의 테스크

    내가 받은 테스크 중에서 맥락이 많이 헷깔리는 테스크가 그간은 없었는데, 어느 조건에서 어느 UI 를 노출시킬지에 대한 조건이 복잡한 테스크를 할당받게 됐다.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설계하는 것만으로 하루를 꼬박 썼다. 버디가 주어진 작업을 내 컨텍스트 안으로 완벽하게 가두어야한다는 조언을 주셨는데, 이 테스크를 통해 의식적으로 연습하려 했었다.

     

     

    타 직군과의 소통

    유독 소통할 일이 많은 한 주였는데, 그 과정에서 레슨런이 많았다. 어떤 관점에서 싱크를 해야하는지, 톤은 어떻게 설정하는게 좋은지, 내가 제안할 것, 다른 구현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퍼널과 트레이드오프 될만한 요소인지 등 고려해야할 것들이 참 많았다. 그간 내가 랩실에서나, 사이드 프로젝트 등 팀 프로젝트에서는 타직군과의 소통에서 맥락을 몰라서 조심했던 적이 없었다는 것도 깨달았다. 늘 디자이너, 백엔드 개발자, PM 등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에서 자신있어 왔는데, 처음으로 자신이 없었다.. ㅎㅎ 맥락을 모르는게 많으니, 더 조심해야할 것도 많고.. 어떤 방향들이 있는지도 감을 잡기가 쉽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고, 한번 짧게 싱크를 맞춘적이 있는데, 맥락을 모르니 회의 때 내가 의견을 낼 수 있는 부분이 부족해서 스스로가 답답하기도 했다. 벼락치기로 공부해서 생기는 것들이 아니니, 프로덕트에 대한 내용을 틈틈히 (적어도 내가 맡은 테스크라도) 완벽히 파악해 나가야겠다.

     

     

    라이브러리 마이그레이션

    lodash, es-toolkit을 혼용하고 있는 현재 프로젝트를 최대한 es-toolkit으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테스크를 맡았는데, 재밌었다. 롤백했던 첫 테스크에서 고생을 좀 해서인지, 이젠 깃헙 릴리즈 문서나 공식 문서를 보는게 조금은 자연스러워지지 않았나 싶다. es-toolkit은 토스에서 만들었다는데, lodash보다 훨씬 가벼워서 바꾸는 재미가 있었다. 그리고 이 테스크는 버디가 아닌, 나보다 먼저 들어오신 인턴분이 리뷰를 해주셨는데, 조금 더 편하게 싱크를 맞추고 새로운 호흡을 맞추는 과정이 재밌었던 기억이 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