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딩의 위험성
오늘 실제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면서 깨달은 중요한 점이 있다.
코드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AI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기존 코드는 제가 직접 기능을 구상하고, 하나씩 함수를 작성한, '이해도가 높은 코드' 였다.
오늘 cursorAI 를 사용하여 타입스크립트로 마이그레이션하고, 기존의 Redux 적용 범위를 확장하면서 주의하고, 다음부턴 어떻게 해야할 지 회고가 필요할 것 같아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1. 왜 위험한가?
첫번째로 기능 손상의 위험이 크다.
AI가 코드의 전체적인 맥락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았다. 그래서 기존 기능의 의도나 로직을 보존하지 못한 것을 뒤늦게 발견하기도 했다.
두번째로 손상된 기능을 알아채는 것이 쉽지 않다.
cursorAI 는 다음에 무엇을 해야할지 물어보고 (혹은 물어보지도 않고) 스스로 에러를 고치고, 코드를 수정한다.
그래서, 기능이 손상되었을 때 이를 즉시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만약 내가 유저가 많은 서비스를 개발할때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잠재적인 문제가 누적된다고 생각하니 정말 아찔하다.
2. 안전한 AI 코딩을 위한 가이드라인
그럼에도, cursorAI 가 없었더라면 기존 프로젝트를 마이그레이션을 다시 도전하기에 허들이 높았을 것이다.
그래서 AI 툴은 미래의 개발자라면 하나의 언어처럼 공부하는 마음으로 연습하고 훈련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스스로 AI 툴을 사용할 때 다음에는 하면 좋을 지 생각해보았다.
3.1 코드 이해
- AI에게 작업을 맡기기 전에 코드를 충분히 이해할 것
- 주요 비즈니스 로직과 의존성을 파악할 것
- 변경이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정의할 것
3.2 안전장치 구축
- 버전 관리 시스템 활용
3.3 효과적인 AI 활용 방법
우선 큰 하나의 테스크의 전체적인 수정 방향 제안
작은 단위로 나누어 하나씩 차근차근 진행
각 단계별, 테스트 후 Accept
3. 결론
AI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그것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 코드에 대한 깊은 이해
- 치밀한 검증
을 놓쳐선 안된다!
반응형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의 원리와 함수 구현해보기, 적용 (1) | 2025.08.30 |
---|---|
CursorAI + MCP 로 생산성 100배 부스트하기 (Sequential Thinking과 TalkToFigma) (0) | 2025.04.07 |
Firebase 보안규칙 수정 : 파이어베이스에 안전하지 않은 규칙이 있습니다 메일 올 경우 해결 방법 (0) | 2023.02.12 |
[웹 개발을 위한 기초지식5] javascript로 동적 사이트 만들기 (0) | 2022.07.06 |
[웹 개발을 위한 기초지식4] html에 css로 스타일 입히기 (0) | 2022.07.06 |
댓글